안녕하세요? 오늘은 백준 알고리즘 사이트 문제 중 하나인 10448번 유레카 이론을 풀어보겠습니다. 먼저 문제를 보겠습니다. 삼각수(triangle number)는 문제에서 보여지듯이 입니다. 그리고 가우스는 최대 3개 삼각수의 합으로 모든 자연수를 표현할 수 있다고 증명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이론은 유레카 이론으로 알려져왔다고 합니다. 문제는 어떠한 수가 주어졌을 때, 이 수가 3개의 삼각수로 표현이 가능한지 알아보고 표현이 가능하면 1, 가능하지 않다면 0을 출력하는 것입니다. 제가 접근한 방식은 문제에서 주어지는 입력 K는 3에서 1000사이의 값이기 때문에 1000 이상의 값은 무의미 하다는 것입니다. 즉, 전 1에서부터 1000사이의 삼각수를 구하면 되고 그 수들을 가지고 가능한 케이스를 검사하..
Competitve Programming
2018. 5. 13. 15:09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