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벡터를 오름차순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람다를 사용하여 정렬하였습니다.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define V_SIZE 1 std::vector genRandomNum(int maximum, int size); void printVector(std::vector vector); int main() { srand((unsigned int)time(NULL)); auto genVector = std::bind(genRandomNum, 100, 10); std::vector vInt(V_SIZE); for (int i = 0; i < V_SIZE; i++) { vInt[i] = genVector(); }..
안녕하세요? 오늘 람다(Lambda)를 사용하여 여러 실험을 해보겠습니다. 람다란? 람다는 익명 함수(Anonymous function)을 의미합니다. 익명 함수는 이름 그대로 함수명이 존재하지 않는 함수를 말합니다. 아직까진 크게 와 닿진 않는데요, 한번 예제를 통해서 익숙해져보겠습니다. 예제 1) 람다 사용해보기 #include int main() { auto add = [](auto x, auto y) { return x + y; }; std::cout
안녕하세요? 오늘은 백준 알고리즘 사이트에 있는 문제 중 11403번 경로찾기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문제부터 보시겠습니다.i에서 j로 가는 경로가 있으면 1, 없으면 0을 저장하고 모두 출력하는 문제입니다.정점의 인덱스가 0부터 시작한다고 가정하고 예제 입력1을 보시면 i가 0일 때, 1로 갈 수 있고 i가 1일 때, 2로 갈 수 있고, i가 2일 떄, 0으로 갈 수 있습니다.즉 i가 0일 때, 0, 1, 2 모두 갈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행까지 모두 계산하면 예제 출력 1과 같은 맵을 얻을 수 있습니다.저는 이 문제를 DF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풀었습니다. 갈 수 있는 정점을 모두 들리고 다시 원점으로 돌아오면 탐색이 종료되도록 구현하였습니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온다는 개념을 visited..
- Total
- Today
- Yesterday